Python

·파이썬
### 커서 받아오기 cur = conn.cursor() cur rows = cur.fetchall() rows [{'ymd': '2021-01-01', 'time': '1시', 'power': 64942.0}, {'ymd': '2021-01-01', 'time': '2시', 'power': 62593.0}, {'ymd': '2021-01-01', 'time': '3시', 'power': 60905.0}, {'ymd': '2021-01-01', 'time': '4시', 'power': 59889.0}, {'ymd': '2021-01-01', 'time': '5시', 'power': 59638.0}, {'ymd': '2021-01-01', 'time': '6시', 'power': 59936.0}, {'ym..
·파이썬
머신러닝= 판다스, 넘파이 2차원 데이터 = 엑셀 판다스 수치 = 넘파이 자바는 jdk에 종속되어있다. 파이썬이 데이터 분석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패키지: 파이썬은 데이터 과학 및 머신 러닝에 관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패키지를 제공. NumPy, Pandas, Matplotlib, Seaborn, Scikit-learn 등 라이브러리들은 데이터 처리, 시각화, 통계 분석, 머신 러닝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며, 데이터 분석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커뮤니티와 생태계: 파이썬은 활발한 개발자 커뮤니티와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문법 대화형 프로그래밍: 파이썬은 대화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고 결과를 바..
·파이썬
이터레이터(Iterator)는 파이썬에서 순회 가능한 객체(iterable)에서 값을 하나씩 가져오는 객체. 이터레이터는 __iter__()와 __next__() 메서드를 구현한 객체로, iter() 함수를 사용하여 이터레이터 객체를 생성하고, next() 함수를 사용하여 다음 값을 가져올 수 있다. - 파이썬에서 반복 가능한 객체(클래스)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 클래스 정의하기 class MyIterator: ### 클래스 생성자 정의하기 def __init__(self): self.current_value=0 print ( f'#1 (__init__): self = {self} / self.current_value={self.current_value}') ### 자신의 클래스를 반환하..
·파이썬
오늘 학습내용 # 기능을 수행할 클래스 (모듈 or 라이브러리)생성 class LibraryKiosk: ### 클래스 생성자 정의 def __init__(self): ### 도서 목록을 저장할 딕셔너리 변수 생성 # - 도서 번호, 도서 제목, 도서 재고 수량 정보 담기 self.books = {} print("클래스가 생성되었습니다") #도서 입고 정의하기 def add_book(self, book_id, title, quantity): ## 입고할 도서번호가 존재하는 지 확인 ## 존재한다면 수량만 증가시키기 if book_id in self.books: # self.books[book_id][quantity] = self.books[book_id][quantity] + quantity self.bo..
·파이썬
클래스 class 클래스 이름: def init(): #생성자 def 메소드 이름():… #메소드 모든 메소드에 사용 유무와 상관없이 self 파라미터가 첫번째로 들어가야 한다. class Counter: # count =0 count_a=0 def __init__(self): self.count = 0 def increment(self): self.count+=1 def print_count(self): print(self.count) a= Counter() a.increment() a.print_count() 1 a.count_a= 5 class Counter: def __init__(self, initValue=0): self.count= initValue def increment(self): se..
·파이썬
파이썬은 객체지향언어이다. 그러면 객체지향은 뭐고 절차지향은 뭔가 클래스는 객체의 설계도이며,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다. 클래스는 데이터(attributes)와 메서드(methods)로 구성되는데. 데이터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고, 메서드는 객체의 동작을 정의한다. 이러한 객체와 클래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고 모듈화할 수 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은 우리가 사는 실제 세계가 객체object들로 구성된 것과 비슷하게 소프트웨어도 객체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실제 세계에는 사람, 자동차, 텔레비전, 세탁기 , 냉장고 등의 많은 객체가 존재한다. 객체들은 객체 나름대로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른 객체들과 메시지를 통하여 상호 작용한다. 절..
·파이썬
문자열의 시작 따옴표 앞에 r을 두면 원시 문자열 raw string이 된다]| print(r'This is kims\s dog') This is kims\s dog 앞에 r이 붙어 있는 원시 문자열이기 때문에 파이썬을 백슬래시를 문자열의 일부로 간주한다. 백슬래시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취급하지 않는다.3 원시 문자열을 사용하면 이스케이프 문자가 해석되지 않으므로, 파일 경로와 같이 역슬래시(\)가 자주 사용되는 문자열을 다룰 때 특히 유용하다 'Hello'.isupper() # 문자열이 대문자로 만 구성되어 있는지 .islower() 소 .isalpha() 문자열이 영문자로만 구성되어있는경우 .isalnum() 문자열이 영문자와 숫자로만 구성되는경우 .isdecimal() 문자열이 숫자로만 구성되는경우 ..
파이썬 메소드 모듈화: 코드를 구성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함수와 클래스를 모듈로 나누는 프로그래밍 기법.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복잡한 프로그램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모듈(Module): 파이썬에서 모듈은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을 담고 있는 파일. 모듈은 .py 확장자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다른 파이썬 파일에서 불러와(import) 사용할 수 있다. 함수 (Functions)와 클래스 (Classes): 모듈화를 통해 함수와 클래스를 별도의 모듈로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한 함수와 클래스는 다른 파이썬 파일에서 임포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네임스페이스 (Namespace): 모듈을 사용하면 각 모듈은 자체의 네임스페이스를 가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모듈에..
·파이썬
f = open('foo.txt', 'w'): 'foo.txt' 파일을 쓰기 모드('w')로 연다. 이렇게 하면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기존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쓴다. 파일을 열고 파일 객체를 변수 f에 할당. f.write('Life is to short'): 파일 객체 f를 사용하여 'Life is to short'라는 문자열을 파일에 쓴다. 여기서 파일은 이미 존재하거나 새로 생성되었고, 이 문자열이 파일에 기록된다. f.close(): 파일 객체를 닫는다. 파일을 다 사용한 후에는 항상 파일을 닫아줘야한다. 파일을 닫으면 파일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정확하게 기록되고 리소스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with open('./foo1.txt'..
·파이썬
파이썬 함수는 코드를 구조화하고 재사용성을 높이며, 프로그램을 논리적으로 분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파이썬 함수를 잘 활용하면 프로그래밍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 함수 - 입력 값, 출력값(반환값)이 있다. - 코드의 반복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한다. - def 함수명 (변수1, 변수2...): 실행문1, 실행문2... return 결과값 - (변수1,변수2)
·JOB담
무한 루프는 실제 코드에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반복을 빠져 나가는 조건이 까다로운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수가 3의 배수거나 음수인 경우에 while 루프를 빠져나가야 한다고 하자. 이때는 while 루프의 조건문을 만드는 것 보다 무한루프를 만들고 그안에서 루프를 벗어나는 조건을 검사하는 것이 좋다.
·개발일지
페어 프로그래밍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 중의 하나 페어 코딩은 두 명의 프로그래머가 하나의 컴퓨터에서 협업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에서 두 프로그래머 중 하나는 "드라이버"로 코드를 작성하고, 다른 한 명은 "네비게이터"로 코드를 검토하고 지침을 제공한다. 페어 코딩은 두 명의 개발자가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지식을 나누며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품질 높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방식은 프로그래머 간의 의사 소통을 촉진하고 팀 내 협력을 강화하며, 버그를 빨리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페어 코딩은 효율적인 지식 전달과 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 중 하나다. customer_list = [] index = 0 while ..
초롱씨
'Python'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