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료이해2
잠재GDP
잠재GDP : 일종의 트렌드 한국가의 본질적인 측면(펀더멘털)
단기적 호황및 불황에 관계 없이 완전고용(자연실업률 상태)의 노동력과 정상 가동상태의 자본이 투입되어 생산되는 GDP
잠재GDP: 실제 GDP -(경기 변동+계절적 요인 +불확실성
GDP 갭(GAP) = 실제 GDP- 잠재GDP
경제성장률
물가요인을 제거한 실질 GDP의 성장률
일반적으로 분기 및 연간으로 산출 -> 분기 GDP의 경우 계절적 요인 존재
연간GDP 성장률 % = (실질GDP(t) -실질GDP(t-1)/실질GDP(t-1) ) x 100
분기GDP 성장률 % = (실질GDP(t) -실질GDP(t-4)/실질GDP(t-4) ) x 100(여기서는 전년동기 대비 분기 성장률)
전년동기 대비 분기 성장률 vs 전분기 대비(전기 대비) 분기 성장률
전년동기 대비 : 계절적 요인이 포함되어 있는 원계열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전분기 대비(전기 대비) : 계절 조정된 자료
값이 -15% 로 나온 경우
실질 GDP는 15% 감소/역성장 했다.
실질 GDP 성장률은 -15%다.
// 지수, 률 = 상승/하락
//양 = 증가/감소
// % 증감= %p 상승/ 감소
성장기여도
경제성에 경제활동부문과 지출부문이 GDP 성장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예)제조업의 연간 GDP 성장기여도(%p)=
연간 제조업 성장률(%) x (전년도 제조업 명목부가가치/ 전년도 명목GDP)// 전년도 제조업의 비중
수출의 최종 수요에 대한 기여도(%p) = // 최종수요=소비+투자+수출
수출증가율(%) x (전년도 명목수출/ 전년도 명목 최종수요)// 전년도 제조업의 비중
국민 총소득 GNI
국내총생산(GDP):영토개념
국민총생산(GNP): 국적개념 //생산국민소득
국민총소득(GNI : Gross National Income) // 분배국민소득
GNP = GNI= 피용자보수(임금)+ 영업잉여(자본가들소득)+고정자본소모+ 순생산세 및 수입세(정부)
국민순소득(NNI : Net National Income) = GNI- 고정자본소모
국민소득(NI: National Income = NNI- 순생산세 및 수입세
=피용자 보수 (노동소득) + 영업잉여(자본소득) = 요소비용 국민소득
생산요소(노동,자본) -> 요소비용 국민소득 -> 정부를 제외한 순수한 (가장 본질적인) 시장 ->하지만 오늘날 정부가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