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11월을 시작하며 파이썬 잡담.
초롱씨
2023. 11. 1. 10:03
728x90
반응형
1. 대학수업과 민간시장에 대한 이야기 중.
배민 ceo 개발자 출신님의 말씀을 빌려보면, 학문은 "논문, 연구"계열이 현 시대의 지식에 관해 좁은 한 점을 찍는게 목표이고 학습은 개발자의 경험을 "점점 넓혀나가"면서 전문가 혹은, 전문가형 리더가 되는게 목표이다.
다르게 말하면 학교는 돈버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평생 공부하겠다는 학자와 돈을 벌려는 개발자들은 각자의 소명이 다르고 직업의 속성이 다르다는 것.
2. 유다시티, 코세라 등에 강의 내용은
학문은 시장기술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 그래서 시장의 주류기술과 벤더사의 도구가 주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장에 jsp가 필요할 때는 java까지만 가르친다..
기술을 먼저 익히고, 이론은 기술을 높이는 방향으로 써라. 지식이 아니라 "지식 활용법을 먼저 익히고" 지식은 그 성과를 높이는 도구로 써라.국비지원, 부트캠프를 들으면서 별도 관련 책을 사서 훑어라. 공통적인 시너지가 날 부분이 꼭 있다. 현재이것을 우리는 "애자일 방법론"이라고 부른다.
3.생각해볼 점
프로그래밍을 배우는데 현재 자신이 생각하는 나의 마음가짐은?
학습은 프로그래밍 또는 데이터분석에 대한 기본지식과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
프로그래머가 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계기로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을 꿈꾸게 되었나?
프로그래밍을 배워 최종적으로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지, 프로그래밍 통해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있다면 무엇인가?
마음이 끌리는 무엇인가?
무언가에 긴 시간 동안 몰입해 본 경험이 있나?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최소 6개월 이상을 투자해 결과물을 만들어낸 적이 있는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하며 혼자 뿐만 아니라 동료들과 공동으로 학습하고 같이 성장할 수도 있어야 한다.
내가 프로그래밍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되새기며 생각을 정리해보자.
728x90
반응형